React 컴포넌트(Component)와 생명주기(Life Cycle)

Elice SW Track 7기 - 10주차 진행 내용입니다.

Elice Banner

 

React는 컴포넌트(Component) 단위의 개발 방식을 통해 재사용성, 효율성 그리고 확장성 높은 개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 입니다. React를 일반적인 자바스크립트 프로젝트에서 import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CRA(Create React App)이나 Vite, Svelte 같은 빌드 툴을 통해서 React 프로젝트를 구성하여 시작할 수 있습니다. (빌드 툴에 대해서는 다음에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 React로 사고하기 : 링크

이번에는 React를 이해하기 위한 핵심 개념인 컴포넌트와 컴포넌트의 생명주기(Life Cycle)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목차

1. 컴포넌트란?

2. React 컴포넌트의 종류

3. 컴포넌트의 생명주기와 메서드

4. 함수형 컴포넌트에서의 생명주기 관리

 


 

1. 컴포넌트란?

컴포넌트란, 코드 레벨에서 중복해서 사용되는 기능을 하나의 모듈로써 구성하고 재사용이 가능하게끔 작성된 코드 묶음을 의미합니다. 컴포넌트에서는 UI 요소를 구성하고 상태를 관리할 수 있으며, 다른 컴포넌트와 조합하여 복잡한 UI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물론 React가 나오기 이전에도 컴포넌트라는 개념은 이미 존재했지만, React에서 제공하는 가상 DOM, Props, 그리고 State라는 개념들을 통해 동적으로 변화하는 정보들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더욱 효율적으로 개발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React 컴포넌트의 종류

현재 React 18.2 버전 기준으로, 이전 버전부터 사용되어 왔던 클래스(Class)형 컴포넌트와 함수(Function)형 컴포넌트, 2가지 방식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2가지 방식은 아래와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구현 방식

클래스형 컴포넌트는 ES6의 클래스 문법을 사용하여 컴포넌트를 정의하게 됩니다. render() 메서드를 통해 JSX를 반환하고, this.state 명령어로 컴포넌트의 상태(state)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반면 함수형 컴포넌트는 일반적인 JavaScript 함수로 컴포넌트를 정의합니다. 마찬가지로 JSX를 반환하며,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useState() 훅(Hook)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코드 길이와 가독성

클래스형 컴포넌트는 컴포넌트의 생명주기 메소드를 구현해야 할 때 클래스의 구조로 인해 코드가 더욱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반면 함수형 컴포넌트는 Hooks 를 사용하면 컴포넌트의 상태와 생명 주기와 관련된 로직을 함수 내에서 처리할 수 있어 코드의 구조가 단순해집니다.

컴포넌트의 성능

클래스형 컴포넌트는 불필요한 렌더링을 방지하기 위해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shouldComponentUpdate() 메서드를 사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함수형 컴포넌트는 React.useMemo() 를 사용하여 불필요한 렌더링을 방지하고 더 효율적인 렌더링을 할 수 있어 성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React 16.8 버전부터 등장한 Hook 개념을 사용할 수 있는 함수형 컴포넌트가 권장되고 있으며, 컴포넌트 간 로직 재사용을 위한 custom hooks 기능을 통해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Hook을 사용하게 된 배경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 생명주기를 어떻게 다루는지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 생명주기를 어떻게 다루는 방식에 대해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3. 컴포넌트의 생명주기와 메서드

앞에서 잠깐 언급했듯이 컴포넌트를 제대로 사용하려면 생명주기라는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생명주기란, 앱이 실행되고 종료되는 과정을 특정 시점 별로 나눠둔 것을 의미합니다. React의 생명주기는 컴포넌트가 이벤트를 다룰 수 있는 특정 시점을 말하며, ① 가상 DOM이 아닌 실제 DOM에 컴포넌트가 삽입되는 시점을 마운트 mount, ② 컴포넌트의 정보가 변화하여 리렌더링(Re-rendering) 하는 시점을 업데이트 update, ③ 마지막으로 실제 DOM에서 컴포넌트가 제거되는 시점을 언마운트 unmount 라고 합니다.

 

아래 메소드들은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생명주기 메서드입니다.

  1. constructor()State 데이터를 초기화 하는 메서드
  2. render(): 클래스 컴포넌트에서 반드시 구현되어야 하는 메서드
  3. componentDidMount(): 컴포넌트가 마운트 된 직후 호출되는 메서드 (마운트)
  4. componentDidUpdate(): 업데이트가 진행된 직후에 호출되는 메서드 (업데이트)
  5. componentWillUnmount(): 컴포넌트가 마운트 해제되어 제거되기 직전에 호출되는 메서드 (언마운트)

 

위 메서드들을 이용해서 간단한 예시 코드를 작성해보았습니다. App 컴포넌트 하위에 CustomComponent를 mount 하고, Remove 버튼으로 Component를 unmount 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예시 입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ReactDOM from 'react-dom/client'	

class CustomComponent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state = { color: "Red" };
  }
  componentDidMount() {
    console.log("didMount: ", this.state.color);
  }
  componentDidUpdate() {
    console.log("didUpdate: ", this.state.color);
  }
  componentWillUnmount() {
    console.log("unMounted");
  }
  render() {
      return (
        <>
          <h1>My Favorite Color is 
            <em> {this.state.color}</em>
          </h1>
          <button onClick={() => {this.setState({color: "Orange"});
            }}>Orange</button>
          <button onClick={() => {this.setState({color: "Red"});
            }}>Red</button>
        </>
      )
  }
}

class App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state = {visible: true};
  }
  render() {
    return (
      <div>
        {this.state.visible && <CustomComponent /> }
        <button onClick={ () => { this.setState({visible: !this.state.visible }); }}>
          {this.state.visible? "Remove" : "Mount"}
        </button>
      </div>
    );
  }
}
const root = ReactDOM.createRoot(document.getElementById('root'));
root.render(<App />);

위 코드를 실행하면 App이 렌더링되며 컴포넌트가 DOM에 mount될 때, 버튼의 클릭 이벤트를 통해 컴포넌트의 상태가 update될 때, 그리고 컴포넌트가 DOM에서 제거될 때 unmount될 때 로그가 찍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act console

 

4. 함수형 컴포넌트에서의 생명주기 관리

위에서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 생명주기를 관리하는 메서드들을 살펴봤습니다. 생명주기 별로 독립된 메서드를 호출하는 형태로 사용되던 것과 비교하여,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생명주기 메서드는 useEffect 훅 하나로 생명주기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클래스형 컴포넌트로 작성했던 기능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함수형 컴포넌트 예시 코드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import React, { useState, useEffect, useRef } from 'react';
import ReactDOM from 'react-dom/client'	

function CustomComponent() {
  const [color, setColor] = useState("Red");
  const isFirstRender = useRef(true);

  // didMount와 unMount시점에 실행
  useEffect( () => {
    console.log("didMount: ", color);

    return( () => {
      console.log("unMounted!");
    });
  }, []); // 빈 배열을 넣을 경우 컴포넌트의 마운트/언마운트 시점에 각각 1번만 실행

  // didUpdate 시점에 실행
  useEffect( () => {
    if (isFirstRender.current) {
      // 컴포넌트가 처음 마운트될 때에는 실행되지 않도록 분기 처리
      isFirstRender.current = false;
    } else {
      console.log("didUpdate: ", color);
    }
  }); // 배열을 넣지 않을 경우 업데이트 시점마다 실행
  
  return (
    <>
      <h1>My Favorite Color is <em>{color}</em></h1>
      <button onClick={() => {setColor("Orange");}}>Orange</button>
      <button onClick={() => {setColor("Red");}}>Red</button>
    </>
  )
}

function App() {
  const [visible, setVisible] = useState(true);
  
  return (
      <div>
        {visible && <CustomComponent /> }
        <button onClick={ () => { setVisible(!visible ); }}>
          {visible ? "Remove" : "Mount"}
        </button>
      </div>
  );
}
const root = ReactDOM.createRoot(document.getElementById('root'));
root.render(<App />);

첫 번째 useEffect 훅에는 빈 배열을 할당하여 didMount와 unMount 생명주기에 대응하는 코드를 작성하고, 두 번째 useEffect 훅에는 update 시 실행할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는 비교적 간단하게 생명주기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Elice UTM Banner  

태그 Tag : #엘리스트랙 #엘리스트랙후기 #리액트네이티브강좌 #온라인코딩부트캠프 #온라인코딩학원 #프론트엔드학원 #개발자국비지원 #개발자부트캠프 #국비지원부트캠프 #프론트엔드국비지원 #React #Styledcomponent #React Router Dom #Redux #Typescript #Javascript